Science & Policy Advanced Research Course
| 연사 | 교과목 |
|---|---|
| 우 종 학 (물리 · 천문학부 교수) | 우주의 기원과 진화 |
| 유 재 준 (물리 · 천문학부 교수) | 호기심의 과학 |
| 유 종 희 (물리 · 천문학부 교수) | 보이지 않는 우주를 탐험하다. |
| 이 남 기 (화학부 교수) | 화학으로 이해하는 파킨슨병 |
| 이 동 환 (화학부 교수) | 소소한 문구생활의 화학 |
| 주 상 훈 (화학부 교수) | 수소경제와 전기합성 |
| 정 택 동 (화학부 교수) | 전기화학: 지속가능한 우리의 미래 |
| 김 재 범 (생명과학부 교수) | 생명과학자의 눈으로 보는 “지방조직과 비만” |
| 안 광 석 (생명과학부 교수) | 창의적 혁신가의 비밀 |
| 윤 태 영 (생명과학부 교수) | 세포막: 경계와 소통 |
| 정 충 원 (생명과학부 교수) | 유전자로 알아보는 인류의 역사 |
| 나 한 나 (지구환경과학부 교수) | 바닷물의 운동 |
| 심 민 섭 (지구환경과학부 교수) | 화성에서 화석 찾기 |
| 안 진 호 (지구환경과학부 교수) | 얼음에 지구의 미래가 숨어있다 |
| 이 강 근 (지구환경과학부 교수) | 관찰하는 물, 마시는 물, 생각하는 물 |
| 서 인 석 (수리과학부 교수) | 확률을 이해하면 보이는 새로운 세상 |
|
장 원 철 (통계학과 교수) |
데이터 과학과 디지털 인문학 |
| 곽 지 현 (뇌인지과학과 교수) |
자연지능과 인공지능의 "뇌"비게이션 |
| 이 상 아 (뇌인지과학과 교수) | 우리 뇌의 생애주기별 기억 기능의 변화 |
| 김 정 은 (과학학과 교수) |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 |
| 천 현 득 (과학학과 교수) | 철학자가 보는 인공지능 |
| 홍 성 욱 (과학학과 교수) | 인공지능의 이해: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|
| 윤 성 로 (전기.정보공학부 교수) | 인공지능의 이해: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|
| 도 준 상 (재료공학부 교수) | 면역항암제 개발 현황 및 전망 |
| 이 성 주 (산업공학과 교수) | 인공지능 대 인간지능, 미래를 예측하다. |
| 김 성 수 (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교수) | 달과 우주 탐사: 과학에서 산업으로 |
| 김 장 수 (성균관대학교 수학과 교수) | 저글링하는 수학자가 있다고? |
| 오 종 남 (SNU 홀딩스 이사회의장) | 신 정부의 정책방향 그리고 한국경제 전망 |
※ 매 학기 30개 강좌와 특별 프로그램이 개설되며, 사정에 따라 강사진이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.